본문 바로가기
질환정보 신경성 식욕부진증/신경성 식욕항진증의 원인, 증상과 징후, 진단, 치료 및 간호 by 비플랫 2024. 2. 25.

건강 문제 중 신경성 식욕부진증 및 신경성 식욕항진증의 음식물 섭취장애는 정신과적 질환이나 많은 영양문제와 관련된 질환으로 주로 젊은 여성에게 영향을 줍니다. 심한 음식물 섭취장애 대상자의 6%는 사망하게 되고 50%만이 치유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은 의식적으로 음식물 섭취를 제한하여 이상적인 체중보다 12~25% 체중 감소가 있는 것을 말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젊은 여성에게 많으며 ①심한 체중감소 ②굶는 것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로 월경이 중단됨 ③신체상의 변화나 체중에 대한 공포 및 살찌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심하게 굶는 것과 같이 왜곡된 정신 지각을 경험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체조인, 발레댄서와 같이 적은 몸무게가 요구되는 특별한 운동이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원인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문화적, 사회적, 가족적, 생리적 요인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특히 자존감이 낮은 젊은 여성은 날씬한 것이 자신감을 높여줄 수 있다는 생각과 날씬한 모델을 숭배하는 문화로 인해 발생한다. 

고위험 여성에게서 이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증상과 징후

체중 감소와 무월경, 악액질(cachexia), 변비, 몸 전체의 털이 가늘어지는 것, 건조하고 거친 피부, 서맥, 과다활동, 저체온, 저혈압 등의 증상이 있다. 몸무게를 줄이기 위해 보통 하루에 600 cal 이하를 섭취하며 그 이상을 먹으면 토하거나 하제를 사용한다. 귀밑샘의 비대로 인해 얼굴의 부종이 신체 나머지 부분의 쇠약과 대조되어서 나타난다. 환자는 흔히 살찌는 느낌 외에는 어떠한 문제도 없다고 느끼며 지나치게 운동을 하거나 잠을 자지 않는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에 의한 과다한 체중감소
신경성 식욕부진증에 의한 과다한 체중감소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

혈액검사 결과상 철분 결핍성 빈혈, 저혈당증, 저칼륨혈증, 대사성 알칼리증 등이 나타난다. 혈청 콜레스테롤치가 상승하며, 탈수인 경우 혈액요소질소(BUN)가 상승한다. 다른 진단적 검사로 흉부 X-선 검사, 심전도, 심리 검사를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치료

영양 상태를 증진시키는 것에 역점을 두며 영양적인 재활과 자아상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신 용법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다학제적 치료방법이 필요하다. 입원은 외래 치료 프로그램으로는 관리가 되지 않고 심각한 신체적 합병증이 있을 경우 필요하다. 먹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는 위관 영양이나 총 비경구영양(TPN)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정신과적 문제가 있을 경우 대상자와 가족의 심리상담이 필요하다. 


신경성 식욕항진증

신경성 식욕항진증(bulimia nervosa)은 강박적으로 먹으며 의도적으로 구토를 유도하는 또 다른 형태의 영양 장애로써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겹쳐서 올 수 있다. 신경성 식욕항진증은 중상류의 사회·교육적 재경을 갖고 있는 사춘기 후반과 청년기의 젊은 여성에게 나타나는 흔한 문제이다. 

 

신경성 식욕항진증의 원인

신경성 식욕항진증의 원인은 정확하지 않으나 신경장애, 간질과 비슷한 뇌파의 이상에 의해 발병한다는 이론과 시상하부의 식욕/포만 중추의 장애로 인해 생기는 것이라고도 한다. 또 어떤 학자는 식욕항진증은 긴장과 불쾌한 감정에 대응하면서 취하는 행동이라고 한다. 이 장애의 발병은 때로는 신체적, 성적으로 학대받는 젊은 여성이나 엄격한 체중 감소를 위한 식이 요법을 시행하고 있는 젊은 여성에게 나타난다. 

위험요인은 마른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이미지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환자들은 흔히 자존감이 낮거나 좋지 않은 가족관계, 충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는 성향이 있다.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 주는 것과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신경성 식욕항진증의 증상과 징후

대개 환자들은 우울증, 불안, 분노나 심지어 권태와 같은 어떤 심리·정서적 요인이 발생한 뒤 전혀 배고프지 않은 상태에서 엄청난 양의 음식을 게걸스럽게 먹는다. 사정을 통해 음식을 게걸스럽게 먹어치우는 일이 반복적인지, 자신의 비정상적인 식사습관에 대해 인식하는지, 또 자신이 먹는 것을 멈출 수 없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다. 어떤 환자는 과도하게 먹은 다음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구토를 하거나, 굶거나, 하제, amphetamine, 이뇨제를 사용한다. 그 밖에 다른 심리적 증상으로는 충동 조절력의 손상, 비만에 대한 공포, 자존감 저하 등이 있다. 

그러나 만성적인 구토는 치아손상과 인후와 식도의 자극, 침샘의 부종과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드물게는 상부 위장관에 누공을 형성하기도 한다. 하제남용은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직장 출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 

우울증은 흔한 증상으로 침울한 감정, 자살충동, 정서적 불안, 집중력 상실 등이 나타난다. 

 

신경성 식욕항진증의 치료

식욕항진증의 중재로는 약물요법과 혐오요법 및 정신요법 등이 사용된다.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은 개별적인 정신 요법과 자조 그룹(self-help groups)이다. 

식욕항진증 치료 목표는 ①먹는 습관에 대한 조절력을 갖도록 하여 폭식과 체중 감소의 주기(cycle)를 끊는 것 ②음식과 먹는 행위, 몸매와 자기 자신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하는 것이다. 가족 치료 요법 역시 가족 상호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권장한다. 교육과 정서적인 지지는 대상자와 가족을 위해 필수적이다.

 

신경성 식욕항진증의 간호중재

간호중재

  • 영양관리: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간호할 때 기초식품 5군 모두에서 음식을 선택하도록 도와주고 제공하는 식사를 천천히 모두 먹도록 한다. 식후 최소한 1시간 동안 환자와 함께 있으면서 대화를 함으로써 환자를 지지하고 구토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환자에게 적합한 열량을 정확하게 유지한다. 체중은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며, 식이요법으로 1주일에 750~1500gm씩 증가하여야 한다. 운동은 식욕항진증과 비만증 환자에게 특히 중요하므로 규정된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간호사는 환자들이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새로운 방식으로 찾도록 격려하며 정서적인 지지를 해 준다. 
  • 부정맥 예방: 혈청 칼륨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한다. 저칼륨혈증인 경우 처방에 따라 칼륨을 보충해 주며 칼륨치가 위험한 정도로 높다면 정맥으로 수액 보충을 해 준다. 일단 식이가 정상화되고 상태가 조절되면 칼륨치는 정상으로 돌아온다.
  • 긍정적인 신체상: 간호사는 음식물 섭취 장애 환자들은 흔히 자존감이 낮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가족이나 친구들은 환자로 하여금 음식과 관계없이 자기애(self-regard)를 다른 방면에서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