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환정보 식도질환의 일반적인 건강문제 by 비플랫 2024. 2. 26.

식도의 구조 및 식도질환

1. 연하곤란

 

삼키기 어려움은 어떤 식도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이유는 ① 기계적 폐색 ② 심혈관 이상 ③ 신경성 질환 등이 있다. 

 

기계적 폐색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기계적 폐색에는 선천성 기형(congenital defect), 암 그리고 식도열공탈장(hiatal hernia)과 같은 후천적인 것들이 있다. 식도의 관광(lumen)이 좁아지면, 처음에는 고형음식을 삼킬 때만 연하곤란을 느끼며, 점차로 반고형음식과 유동식을 삼킬 때뿐만 아니라 자신의 침까지도 삼킬 수 없게 된다. 폐쇄성 질환, 특히 식도암은 체중 감소와 악액질(cachexia)을 동반하기도 한다. 

 

심혈관이상

 

노년층에서는 심혈관의 이상으로 연하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성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경우는 확대된 심장, 대동맥류(aorotic aneurysm) 그리고 하행 대동맥의 석회화 등이 있다. 

 

신경성 질환

 

연하곤란은 뇌졸중(CVA),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회백수염(poliomyelitis)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과 같은 신경성 질환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2. 역류

 

역류란 오심 없이 입으로 약간의 유미즙(chyme)이나 위액이 분출되는 것으로 하부식도 조임근이 불완전하여 발생한다. 삼키자마자 즉시 나타나는 역류는 하부식도 조임근에 구조적 또는 운동성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한다. 역류는 비정상적인 운동성, 복압의 증가 및 조임근의 비정상 등에 의해 유발된다. 그 밖에도 유문부 경련, 분문 가까운 부위의 병변, 이완불능증(achalasia), 식도열공 탈장(hiatal hernia), 역류성  식도염 및 식도궤양, 식도암 등에 의해 생긴다. 몸을 구부리거나 눕는 자세는 위의 내용물을 식도로 흘러가도록 하므로 역류를 악화시킨다. 

 

 

3. 통증

 

통증은 광범위한 식도의 경련을 의미하며, 역류성 질환, 방사선 또는 바이러스성 감염 등에 의한 점막의 변화로 생기기도 한다. 통증의 양상도 날카롭고 죄는 듯하고 찌르는 듯하거나 칼로 베는 듯하다. 연하통(odynophagia)은 매우 심하고 고통스러우며 장시간 계속되는 통증이다. 흉골하부에 나타나는 통증은 목과 등, 흉부상부와 어깨로 방사하기도 하며, 하루 종일 지속될 수도 있고, 협심증(angina)과 혼동될 수도 있다. 연하통은 찬 음료수, 탄산음료수 또는 고형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할 때 심해지며 가장 흔한 원인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됨으로써 발생한다.

 

 

4. 가슴앓이

 

가슴앓이(heartburn)는  하부식도 조임근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식도질환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흉골하부 뒤 중앙에서부터 타는 듯한 통증이 파동이 되어 목까지 올라오는 경향이 있다. 환자들은 흔히 경련이 일어나는 것 같다거나 뭉쳐 있는 것 같다고 표현한다. 가슴앓이는 몸을 구부리거나 들어 올리는 것 같이 자세를 바꿀 때, 또 음식물이나 유동식을 단숨에 삼킬 때, 알코올을 섭취할 때 발생하나 서 있으면 완화된다. 위나 십이지장의 내용물이 역류되어 발생하며 가슴앓이와 관련된 흔한 질환들에는 역류성 식도염, 식도열공탈장, 이완불능증( achalasia) 및 위 울체(gastric stasis) 등이 있다. 

 

 

5. 위식도 역류질환 간호과정

 

통증조절

 

통증완화를 위해 처방된 식이에 대해 교육하며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이해정도와 효과에 대해서 평가한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를 기록한다. 

 

신체손상 예방

 

수술 전 간호는 다른 수술과 기본적으로 같다. 간호사는 ① 호흡기계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후 기침과 심호흡의 중요성 ② 흉곽 접근법이 시도된다면 흉부 배액관의 목적과 이와 관련된 간호 ③ 수술 후 위 팽만 예방을 위한 비위관삽관 목적과 이와 관련된 간호에 대해 교육한다. 

 

복부 절개 시에는 상처 감염의 기회가 많으므로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처 배액을 사정한다. 

비위관은 위의 팽만을 예방하기 위해 유지하며 수분섭취는 24시간 이후부터 가능한다. 식이는 연동운동이 돌아오는 대로 환자가 견딜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점차로 유동식에서 일반식사로 바꾸어 준다. 위의 과부담을 피하기 위해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Fundoplication 시술 후 환자는 위 기저부(fundus)를 싸고 있는 것이 꽉 조일 경우 가스 팽만이 생기고 트림을 할 수 없게 되는 가스팽만 증후군(gas bloat syndrome)을 경험한다. 탄산음료, 빨대로 음료수를 마시는 것과 가스를 생성하는 음식물을 피해야 한다. 보행은 위장관의 공기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나 일시적이다. 연하곤란이나 상복부의 가득한 느낌, 가스로 부풀어 오르는 느낌이나 지나치게 부글부글한 느낌 등이 있을 때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한다. 

퇴원 환자는 다음 사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피해야만 하는 것들(알코올, 아스피린, 초콜릿, 카페인)에 대한 목록을 만들고 피한다. 
  • 영양 요구에 맞고 하부식도 조임근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식이에 대해 논의한다. 취침 전 음식과 음료 섭취를 제한하는 것도 포함한다. 
  • 제산제와 같은 처방된 약물의 용량,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서술하고, 피해야 할 약물에 대해 목록을 만든다. 
  • 취침을 위한 적절한 체위(침대 머리 부분을 올리는 것)에 대해 진술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