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
간염의 증상과 징후, 진단, 치료, 예방 더보기 1. 바이러스성 간염의 증상과 징후 이 증상은 환자에게 손을 배굴 시켜(dorsiflexion) 위로 들게 하면 몇 초 내에 손을 앞으로 불수의적으로 떨어뜨린 후 곧바로 배굴 되어 원위치로 돌아오는 것이다.  경한 우울증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지만, ① 질병의 특징(허약, 황달, 소양증, 오심) ② 질병의 기간과 그로 인한 어려움, ③ 활동 제한, ④ 건망증과 일상생활 동작을 완수하는데 집중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기도 한다. 빈혈은 간 효소의 변화에 의한 적혈구 수명의 감소로 인해 올 수 있다. 일시적인 고혈당도 나타나므로 당뇨병을 앓는 환자는 인슐린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간은 정상보다 커지고 촉진 시 압통이 있다. 어떤 환자들에게는 거미모양 혈관종(spider angiomata),.. 2024. 3. 1.
간염의 원인, 병태생리 더보기 간염(hepatitis)은 간의 염증을 말한다. 간염은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acute viral hepatitis)은 가장 흔한 간염의 원인이다. 그밖에 간의 염증은 세균이나 독성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에는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delta: 델타 간염), E형 간염, G형 간염이 있다. 이들의 증상은 비슷하나 각기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질병의 과정, 잠복기, 감염 경로 및 질병의 심각성 등에 차이가 있다. 간염이 발병해서 6개월 이내인 경우 급성 간염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 간염으로 구분한다. 만성 간염은 만성 지속성 간염(Chronic  persistent he.. 2024. 2. 29.
간, 담도 및 췌장 관련 건강 문제 더보기간, 담도 및 췌장의 외분비 문제로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간호문제는 황달, 소양증, 피로, 영양 부족, 출혈의 위험성 등이다.  1. 황달 황달(jaundice)은 혈청 내의 빌리루빈(bilirubin) 색소가 지나치게 축적되어 공막, 피부, 심부조직이 황색으로 착색된 상태이다. 색깔의 변화는 간과 담도계 질병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색깔의 변화는 간과 담도계 질병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빌리루빈 대사나 배설이 비정상적일 때 공막과 피부가 노랗게 되며 소변도 진한 커피색을 띠고 회백색 대변을 보게 된다. 순환계에서 120일 정도의 수명을 끝낸 적혈구는 비장, 간, 골수 등에 있는 망상내피계(reticuloendothelial system: RES) 세포들의 작용으로 글로빈(globin)과 햄(heme.. 2024. 2. 29.
간, 담도 및 췌장의 구조와 기능 1. 간의 구조인체에서 가장 큰 샘인 간은 체중의 약 2.5% 정도를 차지한다. 간은 복부의 오른쪽 윗부분에 위치하여, 횡격막 바로 아래애 놓여있다. 간의 윗부분은 폐에 맞닿아 잇고 아랫부분은 위와 장의 지붕을 이룬다. 간은 횡격막과 복벽에 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갓낫인대(falciform ligament)에 의해 오른엽과 왼엽으로 구분된다. 이 두 엽은 차례로 뒤, 앞, 내측, 외측 구역의 상후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간의 아래면에는 대략 H자 모양의 작은 두엽, 즉 윗부분의 고리엽(caudate lobe)과 아래의 네모엽(quadrate lobe)을 이루고 있으며, 이 두 엽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간문(porta hepatis)이라 부른다. 간의 기능 단위는 주세포인 간세포(hepatocyte)로.. 2024. 2. 29.
위염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진단, 치료 및 간호 더보기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된다. 위염 발생률은 50-60대에 가장 높으며, 여성보다 남성(특히, 술이나 담배를 애용하는 사람)에게서 발생률이 높으며, 위장관 출혈의 10-30%가 급성 위염에 인한 것이다.  급성 위염1. 급성 위염의 원인 급성위염은 위점막의 방어기전이 약물, 음식, 중한 질병 및 미생물 등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발생한다. 급성위염은 위점막을 광범위하게 손상하지 않은 한 질병기간이 짧다.  2. 급성 위염의 병태생리 위의 점막층은 위산의 작용으로부터 위벽을 보호한다. 위점막 방어벽은 prostagland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상을 입으면 위염이 생긴다. 염산이 위점막에 접촉하면 작은 혈관들이 손상되어 부종과 출혈이 생기고 궤양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2024. 2. 26.
식도질환의 일반적인 건강문제 더보기1. 연하곤란 삼키기 어려움은 어떤 식도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이유는 ① 기계적 폐색 ② 심혈관 이상 ③ 신경성 질환 등이 있다.  기계적 폐색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기계적 폐색에는 선천성 기형(congenital defect), 암 그리고 식도열공탈장(hiatal hernia)과 같은 후천적인 것들이 있다. 식도의 관광(lumen)이 좁아지면, 처음에는 고형음식을 삼킬 때만 연하곤란을 느끼며, 점차로 반고형음식과 유동식을 삼킬 때뿐만 아니라 자신의 침까지도 삼킬 수 없게 된다. 폐쇄성 질환, 특히 식도암은 체중 감소와 악액질(cachexia)을 동반하기도 한다.  심혈관이상 노년층에서는 심혈관의 이상으로 연하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성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경우는 .. 2024. 2. 26.